You are currently viewing 노량진 자매수산, 대게 킹크랩 뭐가 답일까
대게 킹크랩 뭐가 답일까

노량진 자매수산, 대게 킹크랩 뭐가 답일까

대게 vs 킹크랩,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 노량진수산시장에서 보는 산지·시세·소비 전략

찬 바람 불기 시작하면 자연스레 생각나는 ‘게’. 그중에서도 단연 주목받는 것은 대게와 킹크랩입니다. 겨울부터 초봄까지, 노량진수산시장을 찾는 발길도 이 시기에 부쩍 늘어나는데요. 대게와 킹크랩, 겉보기에 비슷해 보이지만 제철 시기, 맛, 가격, 유통 구조까지 꽤 큰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최근 노량진수산시장에서 이 두 품목에 대한 수요가 크게 오르면서 소비자들의 선택 기준도 까다로워지고 있죠.

노량진 자매수산 등 전문 게 취급 상점에서도 소비자 문의의 대부분은 “대게가 더 맛있나요, 킹크랩이 더 실한가요?”로 시작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대게와 킹크랩의 차이점부터 제철 정보, 노량진 현장 시세 흐름까지 꼼꼼히 정리해봅니다.

대게, 킹크랩, 홍게 – 제철과 산지부터 구분해야

대게의 국내 주요 산지는 영덕, 울진, 속초, 포항입니다. 주로 11월 말부터 3월까지가 제철이며, 수온이 낮을수록 살이 꽉 차는 특성을 지니고 있죠. 반면 킹크랩은 대부분 러시아, 노르웨이, 알래스카 등지에서 수입됩니다. 국산 킹크랩 어획은 드물기에 시장에 풀리는 대부분은 외국산이며, 연중 입고되지만 특히 11월~2월이 품질이 좋습니다.

홍게는 강원도 동해안에서 많이 잡히며 저렴한 가격과 달큰한 살맛으로 주목받지만, 대게와는 품질 차이가 명확합니다. 때문에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홍게를 대게로 속여 파는 상술’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다리가 얇고 색이 진하면 홍게일 확률이 높습니다.

가격, 어디서 차이나나 – 크기, 원산지, 유통 거리

대게는 킬로그램당 시세가 국산 기준으로 60,00090,000원 선에서 형성되며, 킹크랩은 최근 수입 물동량 회복과 러시아산 재입고로 안정세를 보이며 1kg당 50,00080,000원대에서 거래됩니다. 문제는 유통 과정. 대게는 산지 직송일 경우 시세변동이 크지 않지만, 킹크랩은 항공·선박 운송에 따라 가격 폭이 커집니다. 특히 국제 정세나 물동량 제한으로 가격 급등 사례가 잦습니다.

겨울 성수기 노량진수산시장에서는 대게보다 킹크랩의 수급이 더 안정적인 경우도 많습니다. 이 때문에 일부 상점에서는 “살 꽉 찬 킹크랩이 가성비 낫다”는 소비자 후기가 많은데, 실제로 살 비율이 높은 ‘숏다리’ 킹크랩이나 중간 크기의 활게가 알짜배기로 꼽힙니다.

게를 고르기 전, 이것만은 꼭 기억하세요

게를 고를 때는 다리의 움직임과 몸통 색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살아있으면서 다리 끝이 탄력 있게 움직이고, 복부가 붉고 탄탄한 게가 신선한 활게의 기준입니다. 또 암컷은 알을 품고 있어 고소하지만 지방 함량이 높고, 수컷은 살집이 두툼해 단백질감이 좋습니다. 취향 따라 선택하되, 암컷 게는 해산기(6월~8월)에는 어획이 금지되므로 제철을 확인해야 하죠.

찜 vs 구이, 요즘 트렌드는?

예전엔 대게탕·대게찜이 주류였다면 요즘엔 게살버터구이, 대게 라면, 심지어 킹크랩 직화구이까지 소비 패턴이 다양해졌습니다. 특히 노량진에서는 게를 손질해 주면서 간편한 조리를 돕는 서비스가 늘었고, 2~3인분 소포장 구매와 반조리 판매도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손질 후 바로 찌면 15분 내외가 적당, 너무 오래 찌면 살이 흐트러지니 주의하세요.

보관할 땐 수분 유지가 생명입니다. 활게는 얼음 담은 스티로폼이나 해수팩과 함께 냉장 보관해야 하며, 익힌 게는 1~2일 내 소비 권장, 냉동 게는 진공포장이 잘된 상품 기준으로 약 한 달까지 신선도가 유지됩니다.

트렌드, 유통, 지역 변화까지 – 게는 지금이 제철

연말연시 모임이 많아지면서 노량진수산시장 주말 방문객은 2023년 대비 약 15% 증가했다는 한국수산회 자료도 있는데요. 관광객들까지 대거 몰리며 대한민국 수산 유통의 중심지로서 노량진의 입지는 더욱 굳건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자매수산처럼 일정 물량을 사전 확보해 가격 안정을 꾀하는 업체들이 소비자 신뢰를 키우고 있는 점도 눈에 띕니다.

한편, 산지 소비도 변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산지 직판이 현장을 중심으로 이뤄졌다면, 최근엔 라이브커머스, 온라인 직송 시스템이 활성화되며 울진·영덕에서도 새벽배송 체계가 빠르게 갖춰지고 있죠. 이는 직거래 가격 경쟁력을 높이면서 시장 간 유통 격차를 줄이는 장점이 있습니다.

지금, 합리적이고 똑똑하게 게를 사고 싶다면

노량진뿐 아니라 전국 수산시장이나 온라인 플랫폼에서도 게 구매가 늘고 있는 지금, 건강한 소비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정리했습니다.

  • ✅ 구매 시 ‘활력 있는 다리 움직임’과 ‘묵직한 몸통’을 우선 확인
  • ✅ 손질 요청 시 내장과 알은 별도 보관 요청 (따로 조리 시 더욱 위생적)
  • ✅ 킬로그램당 가격 비교 시, ‘찜비 포함 여부’ 반드시 확인
  • ✅ 암·수 구분은 복부 모양 참고 (삼각형은 수컷, 둥근형은 암컷)
  • ✅ 구매 후 찜은 최대 15분, 보관은 냉장 1~2일, 냉동은 최대 한 달

지금이 바로 대게와 킹크랩의 진짜 맛을 경험할 수 있는 시기입니다. 노량진수산시장을 방문할 예정이라면 자매수산 등 전문 업체를 통해 직접 눈으로 보고 고르는 즐거움도 함께 누려보길 추천합니다. 게의 정점, 그 미식의 진수를 올 겨울 찾아보세요.

🔗 노량진수산시장 위치 & 교통 정보 보기

📅 제철 캘린더

  • 대게: 11월 말~3월
  • 킹크랩: 10~2월(수입산 기준)
  • 홍게: 연중 잡히지만 봄~초여름이 다채롭고 저렴

🧂 손질용품 추천: 큰 가위, 집게형 게칼, 김 빠진 하얀 식초(비린내 제거용)

맛있는 겨울, 지금이 게철입니다.